top of page

DMin이 필요한 이유는 명확합니다. 그것은 세상의 희망은 교회이며, 교회의 미래는 지도자에게 달려있기 때문입니다.

더욱이 오늘날 사회는 IT와 미디어의 발전으로 인해 엄청난 속도로 변해가고 있으며 이로 인해 크고 작은 사회적 혼돈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빠르게 변하는 세상 가운데에 변치 않는 복음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 교회와 선교는 이전과는 차원이 다른 고민을 시작 해야, 아니 이미 시작했어야 합니다.

DOCTOR OF MINISTRY

왜 DMin이 필요한가?

교회, 나의 고민, 나의 사랑

놀라운 하나님의 은혜의 저자로 유명한 필립 얀시(Philip Yancey)는 10여년 전 ‘교회, 나의 고민, 나의 사랑’을 출판했습니다. 이 제목은 아마도 오늘날 한국 사회의 그리스도인들, 특별히 젊은층들이 가지고 있는 갈등을 한 문장으로 정리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 

미디어를 통해 보여지는 교회는 그 맛을 잃어 사람들에게 밟히는 소금과 같은 존재가 되어 버렸습니다. 과연 교회에 희망이 있는가? 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어려운 사역 환경 가운데 살아가는 사역자들에게 과연 DMin이 필요한가? DMin이 무슨 의미인가?라는 질문은 반드시 다시 상고해 보아야 합니다.

이 질문의 대답은 '그렇기 때문에 DMin은 더욱 필요하다' 입니다. 무너진 예루살렘을 재건하기 위한 출발은 올바른 지도자 한 사람이었듯, 오늘날 교회를 다시 일으켜 세우는 것도 바른 지도자 한 사람이기 때문이며 DMin 과정은 그 한사람의 지도자를 세우기 위해 모든 노력과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이야기들이 많은 사역자들에게 공감을 얻기란 쉽지 않을 것입니다. 왜냐하면 이미 DMin 프로그램은 수십년 전부터 이어져 왔고 수많은 사역자들이 그 과정을 밟았기 때문입니다. 그도 그럴 것이 그동안 한국 교회에서 DMin 프로그램은 다양한 이유들로 좋은 평가를 받지 못했습니다. 

 

미래로 한걸음 나아갈 때에,  반드시 과거에 대한 반성과 배움을 통해 나아가야 하듯, 지금까지의 여러 신학교들의 DMin 프로그램을 살펴본 바, 다음과 같은 결과들을 얻었습니다.   

H43A2024.JPG

현장의 필요를 위한 DMin /

목회학 박사 과정은 사역자와 사역 현장을 위한 학위 입니다. 그러므로 그 과정은 철저하게 사역자와 사역 현장을 위해 설계되어야 합니다. 

SOMA는 현장 사역자들의 목소리를 경청하는 것으로 부터 시작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 과정과 학습 프로그램이 설계되었습니다. 

지역 교회 목회자의 필요를 듣는 L&L / 2017 Spring 
@ L.A. Onnuri Church

 

지역교회와 사역자를 섬기는 SOMA 

DMin을 지원하는 이유들

DMin을 지원하는 목적

십수년간 DMin 과정을 운영 하면서 수 많은 지원자들의 상황을 살피고 그들의 이야기를 통해 알게 된 DMin 프로그램의 지원 동기들은 크게 일반적인 경우와 특수한 경우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 일반적인 경우

    • 새로운 이론들을 배우고 시대에 뒤쳐지지 않기 위해

    • 고학력을 요구하는 교회 분위기(생태계)로 인하여

    • 사역지 이동 및 청빙에 있어서 유리한 조건을 위해

    • PhD 지원 여건이 되지 않기 때문에 ​

  • 특수한 경우

    • 안식년을 의미있게 보내기 위해서

    • F1 유학생 신분 유지를 위하여

 

위에서 볼 수 있듯이 사실상 DMin에 지원하는 학생들은 각자 나름의 이유와 목표를 가지고 DMin 과정에 들어옵니다. 하지만 정작 DMin 과정을 통해 배우고 얻어가야 할 것과는 거리가 떨어져 있습니다. DMin을 고민하는 사역자라면 반드시 '나에게 DMin이 왜 필요한가?'라는 질문을 스스로 던져 보아야 할 것입니다. 만약 이 질문에 명확하게 답을 하지 못한다면 지금까지 많은 사역자가 그래왔듯이 같은 이유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DMin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목적이 분명하지 않거나 본 프로그램의 목적과 다른 목적을 가지고 DMin에 지원하는 것은 학생 개인의 책임만은 아닙니다. 오히려 이제껏 DMin을 제공하는 신학교들의 책임이 더욱 무겁습니다. 신학교들은 학생들에게 본 학위에 대하여 정확한 설명을 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사실상, 학교 조차 DMin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습니다. 게다가 그 이해가 있더라도 DMin을 이뤄가는 공법이 부재했습니다. 이러한 원인은 결국 오늘날 DMin에 대한 좋지 못한 평판과 이미지를 만들게 되었습니다.

DMin의 현주소

DMin의 현주소를 가장 명확하게 보여주는 통계는 DMin 학생의 졸업율은 30% 미만 이라는 사실입니다. 이 문제는 한국어 DMin만의 문제가 아닌 전 신학교들이 공통적으로 갖고 있는 문제입니다. ATS에서는 지난 2017년에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신학교 교수들이 연합하여 토론하고 연구하기도 했습니다. 왜 DMin 과정에 10명이 입학하면 고작 3명만이 졸업장을 받게 되는 것일까요? DMin 과정이 그만큼 어렵고 엄격하기 때문일까요? 낮은 졸업율에는 다음과 같은 원인들이 있습니다. 

  • 낮은 졸업율의 원인

    • M.Div 연장 과정과 같은 내용과 학습 방식

    • 현장과 관련 없는 과목들

    • 학생 중심이 아닌 교수자 중심의 교과 운영

    • 사역과 병행하기 불가능한 구조

현장의 필요를 위한 DMin /

자신만의 세계에 갇혀 지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때로는 1년 혼자 고민한 것 보다 1개월 독서가 유익하며, 1개월 독서보다 1시간 전문가와의 대화가 유익할 때가 있습니다 .

1시간 전문가와의 대화 보다 10분 현장을 체험하는 것이 유익할 때도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다양한 배움의 영역과 자신의 특성에 따른 선택입니다.

교회와 세상의 시각을 넓히는 현장 연구 / 2018 Fall 
@ Mosaic

H43A7050.jpg

대부분 DMin 프로그램은 MDiv 연장 과정으로 이해될 뿐만 아니라 실제로 교과 과정과 학습 방식 또한 그렇게 진행됩니다. 수업 내용에 있어서도, 수업을 운영하는 방식에 있어서도 MDiv 과정과 별다른 차별이 없습니다. 이는 사역 현장에 있는 사역자들에게 실제적인 도움을 주지 못할 뿐더러 학업에 대한 동기와 의미를 저해하는 요인이 됩니다.

 

교수자는 학생들의 사역과 그들의 실제적인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강의가 아닌, 교수자의 강의록을 고등학생이나 대학생들을 가르치는 방식으로 전달하는 경우가 일반적입니다. 또한 과제와 졸업 논문에 있어서도 교수자가 PhD 학위를 진행하며 배웠던 방식으로 제출합니다. 이러한 프로그램 운영 방식은 학생들로 하여금 학업에 대한 동기 부여해 주지 못할 뿐더러 DMin의 고유한 성격을 잃어버리게 하였습니다.

결국 현장 사역을 위해 설계된 DMin은 마치 PhD 보다 낮은 수준의 학위처럼 인식 되었고 방식 또한 그러했습니다. 이러한 방식의 교육은 DMin 학위에 대한 열등 의식을 심어 주었을 뿐만 아니라, 심지어 DMin은 '디밀면 누구나 다 들어가는 박사 과정'으로 인식 될 정도로 프로그램에 대한 신뢰가 실추 되었습니다.

 

또한 사역과 병행하기 불가능한 구조로 인해 사역을 위한 학위가 오히려 사역에 방해가 될 뿐만 아니라, 온전히 DMin을 마치기 위해서는 사역을 중단하거나 포기해야 하는 아이러니한 상황에 까지 이르렀습니다. 게다가 DMin 과정을 마쳤다 하더라도 사실상 사역에 대한 전문성을 보장 받지 못했습니다. 

 

  • DMin 학위에 대한 인식

    • 낮은 자존감(열등감)의 학위

    • 사회적으로 부정적 시선

    • 전문성 보장 결여

 

지금까지 살펴본 바에 의하면 DMin은 그다지 유익하지 않은 프로그램, 학위입니다. 그럼에도 DMin이 필요한가요? 그렇습니다. 단, DMin의 본래 목적과 이를 이룰 수 있기만 있다면 DMin 그 어떤 프로그램 보다 놀라운 개인의 성장과 사역의 실제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그러한 이유로 DMin이 무엇인지, 어떤 학위인지에 대한 명확한 이해는 반드시 선행되어야 합니다. 

DMin을 위한 교육의 부재

사역자와 현장 이해 부족

Stay in touch

Follow Us  /

  • Facebook
  • YouTube
  • Instagram
  • Twitter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