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희망은 교회입니다. 교회는 지도자에 의해 많은 영향을 미칩니다. 불안과 불신의 시대 가운데, 진정한 목회 리더십과 전문성은 지도자에게 요구되는 필수 요소입니다.
SOMA의 DMin 과정은 십수년간의 1000명 이상의 지도자들을 관찰하고 시대의 흐름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프로그램을 연구, 개발해 온 전문가 그룹에 의해 디자인 되었습니다. 특히 DMin의 중요성 만큼이나 깊은 애정과 노력을 통해 발전 시켜 왔으며 계속 발전해 갈 것입니다.
SOMA 목회학 박사 과정은 철저하게 목회 지도자의 성장에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를 위해 가장 효율적인 교육학 방법론과 학습법을 적용해 실천합니다. 곧 학습자는 새로운 이론이나 정보를 습득하는 것에 집중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스스로 가지고 있는 은사와 강점 그리고 잠재력을 극대화 하며 데이터와 정보로만 쌓아 놓고 있던 것들을 지식화하며 실제적 지혜로 결과물을 얻는데 사용합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자신에게 부여된 은사를 중심으로 목회 현장을 파악하여 전문성을 갖춘 리더로 세워지게 됩니다.
DMin Highlights /
Adult Education & PBL
성인 교육과 문제(프로젝트) 해결 중심
Collaboration & Team Work
협업과 팀워크
최종 프로젝트 중심의 과정
DMin 학위의 목적은 교수가 되기 위한 과정이 아닙니다. 사역 현장의 전문가가 되기 위한 과정입니다.
SOMA 목회학 박사 과정은 단순히 새로운 정보와 지식을 전달하는 것을 추구하지 않습니다. 이미 내재된 잠재력을 발견하고 경험적 지식들과의 융합을 통해 자신만의 창조적인 사역을 기획,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이에 적합한 리더십을 함께 세워갑니다.

오랫동안 수많은 신학교에서 DMIN 프로그램을 운영해 왔습니다. 하지만 교회의 상황은 이전 보다 어렵습니다.
더 나은 지도자를 양성하기 위한 DMin 과정에 수많은 교회, 선교 지도자들이 거쳐갔습니다. 하지만 오늘날 교회는 목회자의 리더십을 중심으로 위기를 마주 하고 있습니다.
WHY DOES DMIN NEED?
DMIN은 어떤 학위일까요? 무엇을 위한 학위일까요? 많은 경우 학생뿐만 아닌 학교들 조차 이것에 관심을 두지 않습니다.
목회학 박사 학위를 고려하고 있다면 가장 먼저 DMin이라는 학위 자체에 대한 이해를 하십시오. 무엇을 위한 학위인지, 학위가 왜 생겨났으며 무엇을 연구하는 과정인지 그리고 어떻게 하는지 등에 대한 .
WHAT IS DMIN?
SOMA DMIN의 특징 /
Personal Branding
개인 은사 발견, 강점 강화, 리더십 개발
Ministry Branding
기획과 전략, 협업 능력. 평가와 수정
Organization Branding
청사진, 전환과 의사 결정, 소통과 문제 해결
Field Research를 위해 Tapestry L.A. 교회를 답사하는 중 담임인 Charles Choe 목사 께서 설명해 주고 있습니다. (DM732 Giftedness & Ministry 강의 중)
Final Project Oriented
문제(경험)- 설계(연구) - 실험(현장) - 평가(설문) - 재설계
IMAGES: Charles Choe & Paul Kwon
SOMA는 WMU와의 협업을 통해 ATS와 ABHE에 인가된 학위를 수여하며 100% Online 수업이 가능합니다.
WMU(월드미션대학교)는 1989년, Los Angeles에 설립된 복음주의 신학교로서 지난 2016년 부터 협업을 통해 프로그램을 발전, 개발해 오고 있습니다.
VIDEO // SOMA LECTURES
본 영상은 SOMA University 의 다양한 학습 현장을 담은 영상입니다.
학생 중심, 현장 중심의 학습 과정을 실천하고 실제적인 교육을 위해 이론가와 현장 전문가의 협업으로 강의가 구성됩니다.
뿐만 아니라 현장 학습과 워크샵을 통해 입체적이고 경험적인 배움을 통해 개인의 현장에 적용점들을 마련해 갑니다.
VIDEO IMAGES: 재학생 문명상, 김학송, 장인호 외

International Mission Field & Ministries /
SOMA는 여러 선교지와 사역의 경험들을 바탕으로 개인의 선교 사역을 재평가 할 뿐만 아니라 개인과 사역 현장의 실제 문제들을 다양한 문화와 사례등을 통해 사고의 관점을 확장하여